목록전자 (4)
전전 공댕이의 공부 기록

1학기 때 코틀린 스터디에서 문제 풀이 및 응용 연습 용으로 Exercism을 사용했었는데 몹시 좋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래서 파이썬 공부할 때도 써보고 싶어서 다시 오래간만에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Exercism이란? 코딩 언어별로 다양한 트랙들이 있는데, 트랙을 따라가면서 문제를 풀고 제출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보시다싶이 저는 지금 C++, 코틀린, 파이썬 트랙을 시작했고 이 외에도 총 49개의 트랙이 있는데, 자바나 C같이 흔한 언어 뿐만 아니라 (알못이지만) 처음보는 언어들도 굉장히 많습니다! 타입스크립트도 있고 루비도 있고 다양하더라구요! 트랙마다 문제 수도 다르고, 멘토 수도 다르지만 처음 기본 문제들은 얼추 비슷한 것 같더라구요! 멘토 모드 연습 모드 총 2가지 모드로 되어있을텐데 저는..

Scaling을 하는 이유 회로를 디자인 및 분석할 때 R, L, C 값으로 1Ω, 1H, 1F를 쓰면 간편하다. 이 값들이 현실적이지 않기는 하지만, 계산을 단순화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단순화된 계산을 한 후, 이 간편한 값들을 현실적인 값들로 변환해주어야하는데, 이것이 scaling이다. 즉, scaling이란 계산을 간편히 하기 위해 잡은 값(1)을 현실적인 값으로 변환해주는 과정이다. 참고로, scaling은 passive filter, active filter 둘 다에서 사용한다. Scaling의 종류 Scaling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1. Magnitude, 2. Frequency. 1. Magnitude (방법) 주어진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에 scale factor k_m을 곱한다..
Hz에서 rad/s로 1 Hz = 2π rad/s 즉, 2π를 곱해주면 된다! 몹시 간단하다. 예시) 3kHz = 3*(10^3)*2π = 6000π rad/s = 18849.56 rad/s rad/s에서 Hz로 1 rad/s = (1/2π) Hz 여기는 2π로 나눠주면 된다. 예시) 40 rad/s = 40/2π = 6.37Hz
통신이론과 전자회로 1 수업을 듣다가 "정성적"이라는 단어가 자주 나와 헷갈려서 정리용으로 적어보고자 한다. 찾아본 결과 정성적과 정량적의 정의는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성적 (Quantitative): 특징 등을 언어/글자로 설명 회로 등의 특징 및 특성을 문장으로 설명 예시) 매우 낮은 주파수에서 open circuit처럼 작동한다. 예시) 주파수를 키우면 gain이 줄어든다, gain이 ~~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량적 (Qualitative): 수치 등의 숫자를 포함하여 설명 문제를 풀 듯 수식에 숫자를 직접 대입하여 (gain 등으로) 어떤 값이 나오는지 수학적으로 풀면서 설명 예시) ~~식을 이용해서 풀어서 gain이 ##가 나온다. 예시) ~~가 100Hz일 때 ~~가 ##인데,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