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it, github (5)
전전 공댕이의 공부 기록
자주 사용하는 것들 위주로 모아봤다! 계속 업데이트 중인 포스트입니다. cd (폴더명) : 이 폴더로 이동 (change directory)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pwd : 현재 폴더 ls : 현재 있는 폴더들 목록

Git Bash를 쓰다보니 아무 생각 없이 위와 같이 폴더의 이름에 띄어쓰기를 넣었다가 git bash에서 입력하기 힘들다는 것을 깨달았다. 처음에는 tab을 눌러서 사용하다가, tab이 2번 이상 안 눌리자 어떻게 입력해야하는지 조금 막막했는데, 이에 대한 몹시 간단한 해결 방법을 찾았다. 보다보니 backwards slash를 쓰는 것 같은데, 이는 노트북에서 대한민국의 돈을 표현할 때 쓰는 '원' 심볼 ("\", LG gram의 경우 backspace와 enter 사이에 있다.)을 입력하면 backwards slash처럼 자동으로 입력이 된다! (보니까 티스토리도 바로 backwards slash로 올라가네..ㅎㅎ...혹시 몰라 맨 아래에 사진을 첨부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 studying..
이전 포스트와 비슷하게 내가 한 코드들을 스텝별로 상세하게 작성했다. 미래의 내가 또 보고 하겠지..ㅎ 1. 폴더 하나 더 생성 2. github에서 이전의 레포 링크 복사 링크는 레포 페이지에서 오른쪽에 있는 초록색 code 버튼을 누르면 뜬다! 3. git bash에서 새로 만든 폴더로 이동 4. git clone (링크) . 입력 git clone (링크) 만 입력했을 시 (맨 끝 점 없이) : ls를 입력했을 때 원하는 파일들이 나오지 않고, clone하고자 했던 폴더의 이름이 뜬다. 그러면 rm -rf (폴더이름)\ 을 입력해주면 된다. 5. git log 입력 clone하고자 했던 폴더의 로그를 다 볼 수 있다. 6. 새로 만든 폴더의 파일 수정 후 수정 7. git add . 입력 모든 변경..
너무 오랫동안 공부를 안 해 다 까먹은..ㅎ git 공부 다시 시작!!! 내가 한 것들을 상세히 적어보았다. 그러지 않았으면 하지만..나중에 또 git을 까먹었을 때 또 볼 수 있게! 전체적인 순서 1.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여기서 Git을 쓸 것이라 선언 2. 코딩 3. 파일 선택 및 설명 적기 4. GitHub에서 저장소 만들기 (블로그랑 비슷) 5.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6. 내가 작성한 코드 GitHub에 올리기 로컬 저장소: 내 컴퓨터 내 폴더 이 폴더에서 git으로 버전 관리 하고 싶어! → git init → 흐릿한 폴더 생김 (폴더 보기 눌러야) ⇒ 여기서 앞으로의 버전 관리 작업 → 여기서 직접 만지지는 x, 명령어 통해 조작 내가 한 것들, 하나하나..
이전에 프로젝트를 할 때에도 그렇고, 과거에 깃을 써본 경험은 좀 있는데 하도 오랫동안 안 쓰다보니 많이 어색해져버렸다.. 그래서 다시 깃 공부를 시작하려고 한다! 사실 이 블로그를 만들게 된 것도 공부 기록을 남기려고 만들었던 건데, 이 블로그는 조금 더 무엇을 공부했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등에 대해서 회고록?처럼 올리고 상세한 내용은 그곳에 올리려고 한다! 뭔가 잔디를 많이 심어서 뿌듯함을 느끼고 싶기도 하고.. 앞으로 더 자주 깃을 사용할 것 같은데 그 전에 미리 손에 익혀놓고 싶다!